이번 항해는 정기 컨테이너선의 투입이 아닌 북극항로의 항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험 운항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머스크는 기존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항로의 대체항로로써 북극항로를 고려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북극 지역은 얼음이 녹는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만 운항이 가능하고 특수한 쇄빙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얼음이 완전히 녹는 2030년에는 아시아-유럽 간 수송이 연중 가능해지면서 경제적, 전략적 활용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앞으로 북극 항로가 활성화 되면 기존의 수송루트에 비해 비용과 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특히 부산항이 해당항로의 기종점에 위치하고 있어 선용품 공급, 벙커링 등 높은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그 성장 가능성을 주목해 왔다.
강부원 BPA 국제물류사업단장은 “이번 항해는 정기 컨테이너 선박의 북극항로 투입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며 “향후 북극항로가 활성화되면 기종점으로서의 부산항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