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 내 북방경제도시협의회 사무국은 내년 4월16일부터 25일까지 2항차에 걸쳐 ‘북방경제도시연합 환동해권 정기 순환크루즈 노선’을 시범 운항한다고 27일 밝혔다. 노선은 △부산~일본 마이즈루·카나자와~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강원도 속초 △속초~블라디보스토크~사카이미나토~부산이다. 이 노선을 운항할 크루즈선은 1,800명을 수용하는 코스타크루즈의 네오로만티카호(5만7,000톤급)로 롯데JTB 등이 임차해 운영한다. 부산시와 진흥원 등은 마케팅 지원, CIQ(세관검사, 출입국 관리, 검역) 간소화 지원 등 행정 편의를 제공한다.
해당 크루즈 시범노선은 최근 한국과 일본,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환동해 크루즈시장의 수요 증가와 짧은 기간에 아시아와 유럽 문화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환동해 권역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관광 상품으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진흥원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기존 중국 상해를 중심으로 부산을 단순 기항하는 노선과 달리 부산항이 모항 역할을 함에 따라 크루즈 승객과 승무원 등 4,000여 명이 28억 수준의 지역 상품을 구매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지역 선용품 업체, 여행사, 항만 관련 기업 매출 증대 등 간접적 경제유발 효과를 고려하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내다봤다.
김재갑 진흥원 북방경제도시협의회 사무국장은 “이번 환동해권 크루즈관광 노선 개발은 중국시장에 편중된 크루즈시장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부산항을 동북아 지역의 중심 크루즈 항구로 개발하는 첫 시작이 될 것”이라며 “특히 민선 7기 시정이 강조하는 성과지향적 도시외교 추진의 신북방정책 분야에 첫 긍정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북방경제도시협의회는 환동해권 경제 물류 관광 등의 교류 확대를 위해 부산시 주도로 중국 지린성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등 5개 도시가 모여 지난해 10월에 출범했다. 최근 일본 교토부가 회원가입을 정식으로 신청했고 몽골 울란바토르시와 도로교통부도 회원가입을 준비 중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