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오는 11월 중간선거 등에 대한 중국의 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중국을 맹비난했다. 지난달 유엔총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선거개입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한 후 부통령까지 나서 논란을 부채질하는 모양새다. 중국은 “중국을 모욕하는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4일(현지시간) 펜스 부통령은 미국 싱크탱크인 허드슨연구소 행사에 참석해 “중국은 다른 미국 대통령을 원한다”며 연설의 상당 부분을 중국의 선거개입 의혹에 집중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펜스 부통령은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에 타격을 가하려는 정교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베이징의 ‘해로운 영향력과 개입’을 계속 파헤치겠다”고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이은 펜스 부통령의 이날 발언은 미 행정부 전체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중국 측에 경고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펜스 부통령은 이날 “중국이 표적으로 삼은 미국 카운티의 80%가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찍은 곳”이라며 “(중국은) 이들 유권자가 우리 행정부에 등을 돌리기를 원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국 보안기관들이 미국 기술 절도를 진두지휘하고 있다고 중국의 미국 지식재산권 탈취 문제를 강하게 비난하며 구글에 중국 시장 재진입을 위해 추진 중인 프로젝트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구글이 중국 재진출을 위해 중국 당국의 검열 시도에 활용될 수 있는 ‘드래건플라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과 관련해 이의 중단을 요구한 것이다. 그는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와 중국의 신장위구르 무슬림 주민 탄압 문제도 거론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이에 대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사실을 날조하는 뜬구름 잡는 소리”라고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가 국경절 연휴 새벽시간대에 즉각 반박 입장을 낸 것은 이례적이다. 미국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자 중국이 다급하게 진화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노현섭기자 hit812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