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무전기의 약 40%가 도청에 취약한 아날로그 방식 무전기인 사실이 밝혀졌다.
김한정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경찰청에서 넘겨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찰 무전기 총 12만3,389개 중에 5만138개(40.6%)가 주파수 전용 통신방식(VHF-CRS)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무선망에는 아날로그 방식인 주파수 전용 통신방식과 디지털 방식인 주파수 공용 통신방식(UHF-TRS)이 있다. 이 중에서 디지털 방식 무전기는 도청이 불가능하지만, 아날로그 무전기는 보안성이 취약해 도청이 매우 간단하다. 실제로 올해 지난 8월 전북경찰청 광역수사대가 교통사고 현장에 먼저 도착하기 위해 경찰 무전을 도청했던 견인차 기사와 자동차공업사 영업사원 등 17명을 적발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한 바 있다. 현재 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경찰청이 보유한 무전기는 95% 이상이 아날로그 무전기로, 특히 제주경찰청이 보유한 무전기는 전부 아날로그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경찰은 무전기 사용 시 음어·약어 사용을 생활화해 보안을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의무경찰 출신에게 음어를 배워 경찰 무전을 도청하다 적발된 사례가 있다”며 “재난안전통신망에 도청이 불가능하도록 조처해야 한다”며 신속한 조치를 당부했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