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는 시작부터 야당이 서울교통공사 채용비리 의혹을 두고 총공세를 펼쳤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질의에 앞서 서울교통공사가 올 3월 진행한 ‘가족 재직 현황’ 조사 등에 대한 자료 요청을 촉구하며 서울시를 압박했다.
이현재 의원은 “채용비리 관련 직원 조사를 했다는데 응답률 99.8%가 맞는지 11.2%가 맞는지, 자료와 전체 친인척 채용이 몇 명인지, 정규직 전환인원은 어떻게 되는지, 이것과 관련해 향후 정원 감축 계획이 있는지를 밝혀달라”고 압박했다. 이 의원은 “11.2%에는 물론 기존 사람도 들어가 있을지 모르겠으나 10명 중 1명이 친인척이라는 게 정상적 공기업의 채용형태냐”고 몰아세웠다.
또 “안전업무로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한 건데 식당 아주머니, 매점 직원, 이용사, 면도사 137명은 안전이랑 관련없다”며 “시장은 청년 일자리를 위해 청년수당 50만원을 주는데, 산하기관이 이러는 것은 이율배반 아니냐”며 무기직의 정규직화로 교통공사가 2020년까지 1,029명을 감축할 예정이라는 일부 언론보도를 제시했다.
이 의원은 이어 “서울교통공사 적자가 5,000억원인데 직원 평균 연봉이 6,791만원이다. 무임승차 줄여달라는 말을 했지만 이렇게 해서 교통공사 경영 정상화가 어떻게 이뤄지겠나”라고 다그쳤다.
이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지난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하면서 기본 계획이 1,029명을 단계적으로 줄이겠다는 얘기였다”며 “2017년 7월 무기계약직의 일반직 전환에 따라 교통공사 정원이 1,632명 늘어났다”고 반박했다. 이어 “4,000여억원 적자 중 3,600억원 이상이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라며 “청소와 미용 이런 분들을 정규직화했다고 지적하는데, 비정규직이 큰 사회문제 이기 때문에 2012년에 이런 일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김석기 의원은 “서울교통공사 청년일자리 약탈 문제로 청년들이 분노하고 있다. 이 문제가 비단 교통공사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고, 박덕흠 의원은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채용비리 사건를 국민이 ‘신적폐’라 한다”고 주장했다. 민경욱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관련한 의혹도 제기하며 “전 인사처장 배우자, 현재 비서실장 친척 배우자, 비서실장 친척 이런 분들이 SH공사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실이 있는지 얘기해달라. 처장 한 분이 퇴직 후에 SH 리츠회사 본부장으로 재직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구체적인 자료를 달라”며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여당 의원들은 서울교통공사 의혹과 관련해 ‘가짜 뉴스’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이규희 의원은 “서울시 교통공사 1만7,084명 중 친인척 조사를 했는데 친인척이 11.2%까지 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의도하지 않은 선의의 가짜뉴스”라며 “먼저 입사하신 분이 있고 친인척이 나중에 입사하는 건데 이렇게 따지면 비율이 5.6%로 낮아진다. 먼저 입사한 분은 아무 문제 없다. 각각 입사했다가 사내커플 됐으면 그분들은 빼야 된다. 11.2%라고 하니 ‘열 명 중 한 명도 넘네’라고 일반 국민이 이해해 걱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진 의원은 “16일 일부 언론에서 11.2%를 조사한 결과 8.4% 친인척으로 나타났다, 이를 100% 환산하면 87%가 친인척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했는데 역시 가짜 뉴스”라고 반박했다. 이후삼 의원은 “안전 문제가 흑자냐 적자냐 논리로 진행되는 게 참 안타깝다. 식당 직원, 목욕탕 직원 언급하는 걸 보면서 인식의 차이가 너무 크다는 안타까운 생각을 한다”며 “식당 직원, 목욕탕 직원이 안전문제와 관련 없다는 데 휴식하고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게 안전문제와 왜 관련이 없냐”고 꼬집었다.
황희 의원은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일반직화한 직원 중 교집합이 되는 인원 108명이 있다는 건데 1,285명 중 8.4%에 해당한다. 1만7,054명 중에 0.6%인데 어마어마하게 채용을 한 것처럼 한다”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은 “우리나라에는 비정규직이 너무 많아 신분상 불안 때문에 삶을 설계하지 못한다. 일자리 자체보다 질이 중요하다. 제가 취임하며 서울시 안에 있는 1만명 가까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선제적으로 전환해 사회적으로 찬사를 받았다”며 “이 과정에서 채용 불법이나 비리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규직화 자체는 중요한 화두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