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무상원조 대표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매년 수천명의 인력을 해외에 파견한다. KOICA 직원과 봉사단원, 사업인력 1,900여명이 이 순간에도 개발도상국에서 활동 중이다.
개도국은 풍토병과 자연재해 위험에 노출된 곳이 대부분이다. 근무 중 다치거나 병에 걸리면 ‘골든타임’ 안에 치료를 받는 게 필수인데 이를 위해서는 24시간 의료상담과 이송이 가능해야 한다. KOICA가 지난 10월부터 모든 사업인력에 ‘의료 SOS’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KOICA가 의료 SOS를 전면 확대한 것은 ‘인명손실’이라는 시행착오 끝에 이뤄진 결정이다. 그동안 무상원조 사업을 하면서 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목숨을 잃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성남시 KOICA 본부에는 ‘KOICA 추모비’가 있다. 2015년 창립 24주년을 맞아 세울 당시 추모비에는 순직한 KOICA 직원과 해외 봉사단원 16명의 명패가 있었다. 지금 명패 숫자는 20개로 늘었다. 1년에 1명 이상 순직한 셈이다. 무상원조 현장을 위협하는 것은 말라리아를 비롯한 풍토병, 지진·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 교통사고 등 종류도 다양하다.
KOICA 해외사무소가 있는 44개국은 대부분 한국과 거리가 짧아도 직항편이 없어 이동에 시간이 많이 든다. 자칫 골든타임을 놓치기 십상이다. 상황이 급하다면 에어앰뷸런스(구급비행기)라도 타야 하는데 이 서비스는 출동에 수억원이 들기 때문에 개인이 감당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KOICA가 제공하는 의료 SOS에는 에어앰뷸런스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사실 해외에서도 에어앰뷸런스가 필요할 만큼 긴박한 상황이 자주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이나 좀 더 의료환경이 나은 인접국가 병원에 가서 치료만 받으면 해결될 질환이나 부상이 제때 후송되지 못하거나 적절한 의료상담을 받지 못해 치명타가 된다. 더 이상의 허망한 인명손실을 없애기 위해 상시 의료상담, 후송체계가 도입됐다.
의료 SOS의 수혜 대상은 KOICA 계약 업체는 물론 하도급 직원도 포함된다. 이번 서비스의 수혜자는 최소 1년간 148개 업체, 1,370명으로 추산된다. 공적개발원조(ODA)의 기본정신이 ‘누구도 소외되지 않게 한다(No One Left Behind)’이듯이 KOICA는 앞으로도 개도국 주민은 물론 KOICA의 협력 파트너들도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