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북한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과 미중 정상회담이 계기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문재인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한 자리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며 북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한 자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성사되면 김 위원장에게 “남은 합의를 다마저 이행하기를 바라고, 김 위원장이 바라는 바를 이뤄주겠다”는 뜻을 전해 달라며 ‘중재자’ 문 대통령을 통한 간접대화 방식으로 김 위원장을 향한 메시지를 타전했다. 김 위원장에게 ‘선(先) 비핵화-후(後) 제재완화’ 입장을 재확인하고, ‘최종적이며 완전하게 검증 가능한 비핵화’(FFVD)를 위한 구체적 실행조치를 행동으로 옮기라고 거듭 압박하는 동시에 비핵화가 이뤄지면 그에 대한 충분한 ‘상응조치’를 확약하겠다는 것을 직접 담보함으로써 김 위원장의 빗장을 풀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공동노력에 추가적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함으로써 김 위원장 답방에도 힘을 실어줬다. 남북미 간 선순환을 통한 비핵화 동력을 마련하고자 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이어 1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업무만찬에서는 무역전쟁 휴전과 맞물려 대북 대응에 대한 미·중 불협화음을 잠재우면서 공조를 강화했다. 미중 정상회담이 끝난 뒤 귀국길에 오른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밤 전용기 에어포스원 안에서도 기자들에게 시 주석이 북한 문제와 관련해 자신과 100% 협력하기로 했다며 “이는 대단한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한 바 있다. 무역전쟁의 봉합을 모멘텀으로 그동안 균열 조짐을 보여온 중국과의 대북 공조 전선을 회복, 국제적 대북 제재의 틀 안에 중국을 묶어두려는 포석이 엿보인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 내년 1월이나 2월 열릴 것이고 구체적으로 3곳 정도를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북미정상의 2차 핵담판 추진에는 ‘이상기류’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 담판을 선호하는 북측을 향해 ‘톱다운 협상’은 차질없이 이어질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동시에 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를 위해서라도 뜸 들이기를 그만하고 북미고위급 회담, 실무회담 테이블에 빨리 응하라는 압박 차원도 있어 보인다.
이에 따라 북측이 이에 어떤 화답을 보낼지가 최대 관건으로 떠오른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북미고위급 대화의 순조로운 재개 여부가 1차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여부 등도 북미 협상 속도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제재완화 문제 등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북미대화 재개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가운데 직접 총대를 메고 톱다운식 해법을 시도, 교착국면을 뚫겠다는 복안으로 보여 돌파구 마련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정선은인턴기자 jse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