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간 무역 전쟁만큼 세계 경제를 뒤흔드는 변수로 주목 받고 있는 정치적 리스크(위기)가 있다. 바로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내년 세계 경제 최대 정치적 리스크 중 하나로 이 ‘브렉시트’를 꼽기도 했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EC)에 가입했던 영국이 45년 만에 EU 탈퇴 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지난 2016년 국민투표로 EU 탈퇴를 결정한 영국은 지난해 6월부터 EU와 본격적인 브렉시트 협상을 벌여왔다. 지난한 과정을 거쳐 총 585쪽으로 구성된 EU 탈퇴 합의문에 서명한 영국은 내년 3월 29일부로 EU를 공식 탈퇴한다. 단, ‘이혼 합의금’으로 불리고 있는 재정기여금 390억 파운드(약 57조원)를 내고, 온전한 탈퇴에 이르는 2020년 말까지 전환기를 거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영국은 EU 규정을 따라야 한다. 별도의 합의에 이를 때까지 EU 관세 동맹에 잔류하고, 충격 완화를 위해 2020년 말까지 전환 기간을 두는 것이다.
마침표를 찍은 것 같았던 영국의 EU 탈퇴는 아직 넘어야 할 큰 산을 두고 있다. 영국과 EU가 큰 틀의 합의문에서 서명했지만, 양측 모두 의회에서 비준을 받아야 효력이 생긴다. 당장은 영국 정부의 의회 비준을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다.
영국의 운명을 결정할 날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영국 의회(하원)는 11일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해 표결을 한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합의안 통과를 위해 백방으로 동분서주했지만, 전망은 어둡다. 집권 보수당 내 EU 탈퇴 강경파(하드 브렉시트)와 노동당 등 EU 잔류파 모두 (서명한) 합의안에 반대하고 있어 하원 통과를 낙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의회에서 부결되고 새로운 진전이 없으면 영국은 3월 29일 오후 11시 이후 EU를 완전 탈퇴하게 되며 아무런 협상 없는 ‘노딜(No-deal) 브렉시트’가 현실화된다.
국제금융센터는 “합의안 비준이 실패할 경우 시장변동성이 커지고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등 세계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며 “합의안이 승인되더라도 아직까지 영국과 EU의 미래관계에 대해서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합의가 없기 때문에 영국의 투자환경이나 중기 성장전망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게 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합의 없는 ‘노딜 브렉시트’일 때 영국 국내총생산(GDP)은 EU 잔류 시와 비교해 2030년까지 7% 낮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스위스 투자은행인 UBS는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의 GDP가 지금까지 2% 감소했으며, ‘노딜 브렉시트’ 시에는 8%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같은 노딜 브렉시트 우려에 투자자들의 영국 증시 이탈도 가속화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2년 전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영국에 초점을 맞춘 주식형 펀드의 자금 순유출액이 1조 달러(약 1,130조원)를 돌파했다. 최근 메이 영국 총리가 내각에 브렉시트 합의문 초안을 제출한 주에만 194억 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간 유출 규모로는 가장 큰 것이다.
이처럼 ‘노딜 브렉시트’가 몰고 올 경제적 파장이 적잖지만, 영국 하원 의원들은 11일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 부결되면 이후 시나리오는 더욱 복잡해 지고 영국 사회 전반은 물론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혼란이 예상된다.
내각 인사들은 일제히 부결 시 닥칠 ‘노딜 브렉시트’를 경고하고 나섰다. 필립 해먼드 영국 재무장관은 “EU와 재협상을 통해 더 나은 브렉시트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주장은 ‘망상’(delusion)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노 딜’의 영향은 “예상하기 너무 끔찍한 수준”이라며 제조업체는 10%의 관세를 부과받을 수 있고, 농산물에 대한 관세는 더 높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