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혜 조강특위 위원은 14일 국회에서 ‘조강특위 경과보고 기자간담회’를 열어 “2016년 총선 당시 공천 파동과 국정농단 사건, 탄핵, 당 분열, 6·13지방선거 참패에 이르기까지 누가 책임을 지는 자리에 있었는지 등을 (탈락의)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강특위는 인적청산 ‘7대 원칙’ 중 하나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관련 인사’라는 기준을 제시한 바 있고 국정 농단 사태를 초래한 친박계가 적용 대상으로 언급돼왔다. 그러나 이날 “국정농단과 탄핵, 당 분열도 당의 균열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분당을 거론하면서 책임 대상이 바른정당을 창당했다가 돌아온 비박 복당파로도 확장됐다. 전 위원은 명단 내용이나 구체적인 규모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당내에서는 “살생부(당협위원장 탈락 명단)에 포함되는 현역 규모가 예상보다 커질 것”이라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복당파이자 조강특위 위원장인 김용태 사무총장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는 소문이 돌자 김 총장이 특위 외부위원들에게 “나에 대해 신경 쓰지 말고 기준대로 평가하라”고 당부한 사실도 알려졌다. 특정 계파(친박)에만 책임을 물어 인적청산에 나설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은 만큼 비박계 내 탈락자도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하며 균형을 모색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전 위원은 ‘야당 의원으로서의 전투력’도 핵심 심사 기준으로 언급했다. 그는 “정부나 여당에 대한 견제, 대안 제시 능력이 뒷받침돼야 함에도 이 같은 자질이 미흡하다는 국민 질타가 있었다”며 “강세지역에 안주한 다선 의원들에 대해서는 좀 더 엄정한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조강특위의 결론이 얼마나 관철될지는 불투명하다. 나경원 원내대표가 대규모 물갈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며 인적쇄신을 강조해온 비상대책위원회와 온도 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 위원은 조강특위의 당협위원장 교체 명단이 비대위에서 추가되거나 줄어들 가능성에 대해 “위원회 결과를 존중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