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은 익히 예상된 것으로 그렇게 놀랄 일은 아니다. 한은이 지난달 경기후퇴 조짐이 역력한 가운데서도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유도 미국이 12월 추가 인상을 예고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번 금리 인상보다 중요한 것은 연준의 통화긴축 속도다. 연준은 통화정책회의 직후 공개한 점도표(dot plot)에서 내년 금리 인상 횟수를 종전 3회에서 2회로 줄였다. 한마디로 통화긴축 속도를 늦추겠다는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추가 금리 인상 속도에 실질적인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이다. 한미 금리격차 확대로 인한 자본유출 우려가 다소나마 약해졌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미국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춘다면 통화정책 운용에 약간 여유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미 경제가 내리막으로 향한다는 것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 우려스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연준의 긴축속도를 주목해야 할 연유는 여기에 있다. 실제로 연준은 내년 미 경제성장률을 기존 2.5%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우리의 최대 수출 상대국인 중국은 이미 경기 하강세가 완연하고 유럽 주요국의 경제상황도 순탄하지 못한 상황이니 수출전선 곳곳에서 빨간 불이 켜진 셈이다.
정책당국은 신기루 같던 소득주도 성장에 헛심을 쓰다 글로벌 호황기를 놓친 것을 뼈아프게 반성해야 한다. 세계 경기 둔화를 경제 운용의 상수로 삼아 그 충격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다각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경제활력을 높이고 기초체력을 다질 수 있도록 고삐를 바짝 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