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에서 선보인 기술들이 조만간 현실로 나타날 것이라는 증거는 곳곳에 있다. 지하철을 안내하는 AI 탑재 로봇이 일본에 등장했고 드론을 이용한 배송은 연내 상용화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험주행이기는 하지만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누비는가 하면 실감형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도 내년이면 사회에 급속히 퍼지는 ‘기술 확산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구글이 AI에 천문학적 규모의 투자를 하는 것도, 중국이 로봇·드론 등의 분야에서 ‘굴기’를 앞세우는 것도 조만간 실현될 미래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다.
세계가 4차 산업혁명을 향해 뛰고 있지만 우리는 더디기만 하다. 한국의 과학기술 혁신 역량은 미국의 68% 수준에 불과하고 그나마 일부 분야에서는 기술 격차가 커지고 있다. 2014년 3.8년이었던 자율주행차 기술 격차는 2년 뒤 3.9년으로 늘어났고 로봇도 3.8년에서 4.0년으로 벌어졌다. 신산업·신기술 육성을 위해 17일부터 규제 샌드박스를 시행하기로 한 것은 다행이지만 바이오와 의료 분야는 규제에 가로막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기술혁신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우리의 미래는 장담하기 힘들다. 전면적이고 과감한 규제완화가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인사청문회 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관광, 의료, 물류, 게임·콘텐츠 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 중이라는 이야기도 들린다. 혁신이라는 거대한 흐름에 더는 뒤처지는 일이 없도록 정부와 여당이 온 힘을 기울이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