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이틀 연속으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기는 지난해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째다. 수도권을 포함해 부산, 대전, 세종, 충남 등 10개 시·도에 14일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추위가 닥치면 ‘롱패딩’이 유행하듯, 출근하는 직장인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쓰고 찌푸린 얼굴로 걸음을 재촉했다. 미처 마스크를 챙겨 나오지 않은 이들은 목도리로 코와 입을 감싸는 임시방편을 한 채 종종걸음을 쳤다. 지하철 2호선 아현역 인근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김 모(31) 씨는 “주말 내내 집에 있느라고 마스크를 사지 못했다. 지금 편의점에서 사야 한다”며 “미세먼지 때문에 오늘 저녁 약속도 취소했다. 퇴근해서 빨리 샤워를 하고 싶다”고 푸념했다. 여의도에서 만난 이 모(26) 씨는 “요새 우리나라 겨울은 롱패딩 아니면 마스크가 하나는 꼭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면서 “추운 날엔 롱패딩 없으면 얼어 죽겠고, 날 풀리면 어김없이 미세먼지가 날아오니 출근길이 매번 너무 힘들다”며 인상을 구겼다. 김 모(45) 씨는 “주말 동안에 집에만 있었더니 미세먼지가 이렇게 심각한 줄 몰랐다”며 “아침에 집을 나서면서 사방이 희뿌연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집으로 돌아가 마스크를 챙겨 출근했다”고 말했다.
비상저감조치로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가 시행된 수도권에서는 2부제 대상차량을 무심코 몰고 나왔다가 진입을 거부당하는 사례가 일부 발견되기도 했다.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는 청사 내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유아 동승차량과 장애인 차량, 민원인, 외부에서 회의차 온 차량 등 예외 대상을 제외하고 차량 끝자리가 홀수인 차량은 진입이 통제됐다. 입구에서 근무하는 청사 방호원은 예외 대상이 아닌 홀수차량 한 대가 들어오려 하자 인근 세종문화회관 쪽을 가리키며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라”고 안내했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 외부활동이 많은 업종 종사자들은 걱정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아파트 단지 내 분리수거장에 마스크를 끼고 나온 최 모(37) 씨는 “6살짜리 아들이 계속 밖에 나가고 싶어하는데, 공기가 이렇게 매캐해서 유치원도 못 보내지 않겠나 싶다”며 안타까워했다. 강서구 한 아파트 단지 경비원 강 모(61) 씨는 “경비실에 마스크를 쌓아두고 동료끼리 나눠 쓴다”며 “재활용품 정리나 주변 청소 등 외부활동이 많은 우리 같은 일은 마스크 없이는 못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미세먼지에 따른 불편이 일상화하는 상황이 우려된다며 정부에 대책을 촉구했다. 안국역 인근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장 모(56) 씨는 “어제와 오늘 괜히 목이 따갑고 가래도 심하다”며 “이런 상황이 일상이 되는 것 같아 겁이 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에서 계속 대책을 마련한다고는 하지만 상황이 나아지는 것 같지 않다.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워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정선은 인턴기자 jse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