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진행되는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에 봉착한 우리 사회는 동시에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 및 직업 구조의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재직자 등 성인들의 단기 직업전환교육, 재취업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가 계속 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변화하는 여건에 잘 적응하고 더 나아가 그것을 잘 사는 삶으로 연계하는 ‘계속학습’이 필요한 시대에 살게 됐다.
대학도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 있다. 대학은 이미 학령인구 절벽 현상에 직면한 상태다. 기존의 학령기 학생 중심의 학사체제 운영에서 일정 부분 탈피해 지역 성인의 학습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체제 개편에 능동적으로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생교육에 기반한 재직자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後)학습 활성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민 모두가 누리는 포용국가’라는 국가 비전을 표방하는 가운데 성인기 직업훈련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높이고 인프라를 확충해나가고 있다. 또 성인기의 인적 역량을 강화하고 사람 중심의 일터로 혁신해나가고 있다.
고등평생교육의 진흥을 위한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지난 2008년 평생학습중심대학 사업을 시작으로 평생교육단과대학 사업을 거쳐 현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 형성의 미흡으로 대학 운영체제의 전면적 개편으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과거 10년의 경험에서 대학 평생교육의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추진과 발전을 위한 요인들을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대학의 강력한 추진 의지와 학교 성원의 지지 기반, 지역의 수요에 기반한 성인학습자의 안정적 수급 구조 마련, 지역과 연계한 특성화된 전공 개설 및 운영, 현장 중심의 교과과정 설계와 교수학습방법론의 개발 및 적용, 유연하고 내실 있는 학사제도의 도입과 운영, 성인 친화적 학습 환경 마련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우리나라 성인들의 고등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참여 의향은 상당히 높다. 이런 점에서 계속교육의 수요 충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대학은 지역의 경제발전과 사회통합 등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지역 내 평생교육 선도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충분한 역량과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고려해 지역과 연계한 평생교육을 대학의 주요한 기능으로 삼고 전문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때다. 지역에 기반한 양질의 후학습, 즉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개인의 자아실현과 행복한 삶의 영위는 물론 지역에서의 사회통합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고등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 성찰과 실천이 필요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