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S 대응 TF 협의회는 총괄반, 교육·홍보반, 직권등록시험반, 농약잔류분석반, 현장대응반으로 나눠 농업기술원 전문가 등 30여 명으로 구성했다.
이날 첫 회의에서 농약 포장지 및 리플릿 등을 활용해 농약안전사용기준을 농업현장에 좀 더 쉽게 전달하는 방법, SNS, 동영상 등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해 홍보하기로 했다. 특히 도에서 재배가 많은 시설엽채류 재배농가에 대한 관리강화를 위해 주요 20여개 시군에 현장기술지원단을 운영해 농가 애로사항을 파악하기로 했다. 또 토양환경 유래, 비산 등으로 인한 부적합 농약 검출에 대한 농업인 걱정을 덜기 위해 사전 농약 잔류분석 및 도내 재배 소면적 작물에 대해 추가로 등록이 필요한 농약 등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