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춘추관 정례 브리핑에서 손 의원 의혹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당에서 판단할 문제”라며 “청와대에서 그 문제를 별도로 들여다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 사건에 문화재청 등 정부기관이 관련됐으니 민정수석실의 중점비리 조사 대상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현재로서는 그럴 사안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김정숙 여사와 손 의원의 친분을 강조하며 ‘초권력형 비리’라는 언급을 한 것에 대해 ‘초현실적 상상력’이라고 강하게 응수했다. 하지만 이는 김 여사를 이 사건에 결부시키는 나 대표의 정치 공세에 대한 청와대의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청와대가 손 의원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는 해석할 수 없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오히려 “문화체육관광위 간사로서 적절한 처신은 아니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손 의원 사건에 대한 공식 논평을 자제하고 있으나 이 사건의 파장을 청와대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당 내부에서도 전날 최고위원회의가 손 의원의 해명을 받아들여 국회 문체위 위원 사보임 등의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은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고위가 손 의원의 해명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으나 언론의 추가 폭로가 이어지며 여당이 수세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적어도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는 문체위 간사직을 사퇴했어야 했다”며 “자진해서 당의 부담을 덜어줘야 하는데 손 의원이 감정적으로 대응하면서 문제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사안이 국민 정서상 가장 민감한 ‘부동산 투기 문제’와 결부됐다는 점은 여당 입장에서 뼈 아픈 대목이다. 전날에는 최고위가 손 의원에 대한 ‘판단 보류’ 결정을 한 직후 ‘목포의 5·18 성지인 옛 동아약국을 손 의원의 측근이 칼국수집을 열기 위해 매입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불거지기도 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문제가 있으면 추가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며 “당으로서는 국민들이 공감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면 단호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향후 상황에 따라 다른 결정을 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윤홍우·송종호기자 seoulbir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