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에 인공기능(AI) 기술을 적용해 취업, 육아, 의료 등 다양한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확대한다. 도서관을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서 공동체를 강화하는 소통과 교류, 체험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세부 방안들도 마련됐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우선 도서관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역량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2023년까지 공공도서관을 1,468개까지 확대해 1관 당 이용자 수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신기남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도서관법’ 제14조에 근거해 수립한 이번 종합계획은 도서관이 공동체 소통의 장으로서 개인의 삶을 바꾸고, 우리 사회를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청사진을 담았다”며 “우리나라의 모든 도서관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 성장의 든든한 지원자로서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따뜻한 포용 국가의 핵심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번 3차 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하부용 문체부 도서관정책기획단장은 “2020년까지 예산을 확충해 1관 당 도서관 이용자 수를 현재 4만9,000명에서 3만7,000명 가량으로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