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13일 ‘5·18 모독’ 파문을 일으킨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솜방망이 처벌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며, ‘뒷북 대처’라는 비난도 나온다. 당내에선 이들 의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놓고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어 이날 비공개로 열리는 당 윤리위의 결정에 이목이 집중된다. 또 이런 혼란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비롯했다며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당 고위당직자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2·27 전당대회를 앞둔 시점에 이 문제를 윤리위에서 다루는 것 자체가 논란거리”라며 “여론에 밀려 인민재판식으로 처리하면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의 다른 핵심관계자는 “윤리위 소집 전에 당내 총의를 모으는 절차가 있어야 했다”면서 “물론 세 의원이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징계 대상자로서 직접 구두 소명할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 의원이 국민정서에 반하는 역사왜곡, 폄훼 언행으로 당을 위기에 몰아넣은 만큼 윤리위에서 신속하게 중징계해야 한다는 주장도 강력하다. 한국당이 전당대회 국면에서 일부 보수층의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이번 사태 수습에 미온적이라는 비판도 나오는 상황에서 여론 전환을 위해서라도 강경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재선 의원은 “이 문제로 태극기 결집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된다”면서 “아무리 매정하더라도 김순례·이종명 의원을 잘라내 국민적 메시지를 줘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초선 의원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정이었고, 당이 극우로 간다는 인상을 심어준 만큼 출당과 같은 강력한 징계가 필요하다”라며 “이는 역사적 진실의 왜곡 수준을 넘어 나치즘 찬양과 똑같은 수준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당내 의견이 갈리는 가운데 한국당에 명실상부한 컨트롤타워가 미비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임기가 끝나가고, 나경원 원내대표는 의원외교 차 미국을 방문 중이다. 이와 맞물려 논란이 커지며 한국당 투톱이 사실상 책임 있는 지휘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당은 그러나 한편으론, 청와대가 한국당 추천 5·18 진상규명조사위원을 거부한 데 반발하면서 여권이 이번 문제를 키워 김경수·손혜원 사태를 ‘물타기’한다고 보고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정용기 정책위의장은 통화에서 “정부·여당이 김경수·손혜원·조해주 건 등으로 정치적 궁지에 몰리니까 이 문제로 모든 걸 덮으려 하고 있다”며 “이는 정치적 책략으로, 한국당이 추천한 위원들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여권이 추천한 위원들의 자격 미비 사항을 돌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