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대표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카네기 국제평화기금이 주최한 핵정책 콘퍼런스에 참석해 “북한과 대화를 지속하고 있고 문은 열려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말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고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을 복구하는 움직임 속에서도 북한과 대화를 지속하겠지만, 일괄타결 방식의 ‘빅딜’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포스트 하노이’ 원칙을 강조한 것이다.
비건 대표는 “우리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를 위해 북한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며 “북미간 긴밀한 대화가 지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건 대표는 그러면서 비핵화 방식에 대해선 “북한 비핵화를 점진적으로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며 “모든 것이 합의될 때까지 아무것도 합의될 수 없다”고 밝혀 북측에 ‘빅딜’ 수용을 압박했다.
앞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전날 미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을 다시 만날 준비가 돼 있다” 면서도 “북한이 그들의 입장을 재고한 뒤 다시 돌아와 ‘빅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야기하는 건 가능하다”고 말했다.
비건 대표는 비핵화 대상과 관련해서도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핵연료 사이클의 모든 영역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핵화 일정과 관련해선 “트럼프 대통령은 인위적인 시간제한을 설정하지 않았다”면서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달성하고 싶다”고 말했다. 오는 2021년 1월까지인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내에 비핵화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라는 얘기다.
또 대북 제재와 관련해 “대통령은 제재를 원하지 않고 해제하고 싶어 하지만 우리는 그럴 위치에 있지 않다”며 고수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북한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 움직임 등에 대해선 “매우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의 의도에 대해선 “북한이 무슨 메시지를 보내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비건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톱다운 방식’(하향식)의 북미대화에 대해 “톱(top) 레벨 대화가 실무급에서 우리의 아이디어를 시험과 격차를 좁힐 수 있는지 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은 그것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