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청와대 발표 30여분 전에 자진 사퇴했다.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국면전환용 개각 인사 7명 중 2명이 물러난 것으로 인사검증 책임자인 조국 민정수석 경질론이 야권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후보자 자격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의 끝에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문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자가 각종 논란으로 스스로 사퇴한 적은 많았지만 문 대통령이 직접 지명을 철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25억원 부동산 투기’에다 조 후보자도 ‘자녀 황제 유학’ ‘해적 학술단체 참석’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자 비판 여론을 서둘러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윤 수석은 “조 후보자는 해외 부실학회 참석 사실을 본인이 밝히지 않았고 교육부와 관련 기관의 조사에서도 드러나지 않아 검증에서 걸러낼 수 없었다”며 “청와대 인사검증은 공적 기록과 세평을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청와대의 7대 인사검증 기준을 준수했지만 국민 눈높이에 맞추는 데 미흡했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야권에서 주장하는 박영선 중소벤처기업, 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 철회에 대해서는 “조치를 취할 생각이 없다”고 해 강행을 시사했다.
이양수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부실검증으로 ‘인사참사’를 초래한 조국 수석과 조현옥 인사수석을 서둘러 경질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도 “흠결이 가장 큰 박영선·김연철 후보자를 살리고자 한 조치라면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박·김 후보의 지명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