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거나 떼를 쓰는 아이를 달래는데 효과적인 스마트폰. 그러나 우는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이나 TV를 보여줄 때 언어 발달이 늦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소아신경학)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언어 발달 지연으로 병원을 찾은 평균 생후 33개월 아동 40명과 다른 질환으로 내원한 66명을 비교 대조한 결과 언어 발달 지연 아동에서 미디어 노출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언어발달지연 아동 가운데 하루 2시간 이상 미디어에 노출된 비율은 63%에 이르렀다. 반면 다른 이유로 병원을 찾은 아동 중 같은 시간 노출된 비율은 16%에 불과했다. 미디어를 처음 접한 시기 역시 언어 발달 지연군의 95%가 생후 24개월 이전이었지만 대조군은 이 비율이 58%에 그쳤다. 어린 나이에 미디어에 더 빨리 노출되고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언어발달지연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미디어를 부모님과 함께 시청하는지의 여부도 달랐다. 혼자 미디어를 시청하는 경우는 언어발달 지연군이 79%, 대조군 41%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 정도는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대조군의 아동들 사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인간의 뇌는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 많은 활성화 작용이 이뤄진다”며 “단 미디어 노출은 빠르게 지나가면서 시각중추만을 자극하고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까지는 활성화하지 않는기에 언어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너무 어린 나이에 미디어를 시청하게 되면 부모와 소통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간을 잃게 되고 창조적인 놀이를 못 하게 된다”며 “다만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부모와 같이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시청하면 언어발달지연 확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최정윤 인턴기자 kitty419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