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착수보고회에는 시민단체, 교수, 해양분야 연구원 등의 전문가와 유관 기관이 참석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염분 분포의 시각화와 예측시스템 구축’에 대한 세부내용을 청취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비해 지난 2016년부터 낙동강 하구 17개소에 실시간 ‘염분자동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 낙동강 하구의 염분 분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이번 시스템 고도화 사업으로 실시간 염분 분포의 종적·횡적 시각화와 염분 이동 예측이 가능해져 보다 더 효율적인 감시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앞으로 시스템에 ‘고염분 알림’ 기능을 추가해 강서구청, 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에 즉각적으로 알려 신속한 조치를 도울 것”이라며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염분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