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도착, 11일 이뤄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을 포함한 1박 3일 간의 방미 일정에 돌입했다.
지난 2월 하노이 핵 담판 결렬 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로 접어든 상황에서 이번 회담을 통해 양 정상이 돌파구를 찾아낼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10일 오후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한 뒤 13시간 40분 가량의 비행을 거쳐 이날 오후 5시 40분께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안착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영빈관에서 하룻밤을 지낸 뒤 다음날인 11일 오전, 한국시간으로는 이날 밤부터 본격적인 외교 일정을 시작한다.
1박 3일 일정으로 이뤄지는 이번 방미에서 문 대통령은 11일 오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연쇄 접견한 후 정오께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2시간여에 걸쳐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한국시간으로는 새벽 1시께 정상회담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은 정상 내외가 참석하는 친교를 겸한 단독회담과 핵심 각료 및 참모들이 배석해 이뤄지는 확대회담을 겸한 업무오찬 순서로 진행된다.
회담에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이 핵심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앞서 청와대가 비핵화 진전을 위한 ‘연속적 조기수확(early harvest)’의 중요성을 언급한 만큼, 문 대통령이 회담에서 ‘단계적 대북보상’을 언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미 정상 간 비핵화 진전에 따른 부분적 제재완화를 놓고 어느 정도 의견을 좁힐지가 관건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 가동 재개 등을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부분적 제재완화를 설득하리라는 예상도 나온다.
하지만 10일 대북 온건파로 분류되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으로부터 “북한의 FFVD(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를 달성할 때까지 유엔 결의안으로 대변되는 핵심 제재를 유지하겠다”는 강경한 메시지가 나오며 상황이 쉽지는 않으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같은 날 뒤이어 열린 상원외교위원회의 2020 회계연도 예산 관련 청문회에 출석한 폼페이오 장관이 비핵화 제재를 이어가겠다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그 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여지(a little space)를 남겨두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만큼 어느 정도 유연성을 발휘하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돼 회담의 행방에 촉각이 쏠리는 모습이다.
한편 김 여사는 11일(현지시간) 오전 워싱턴 인근 초등학교를 방문한 뒤,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일대일 오찬을 한다. 한국 대통령의 방미 시 한미 정상 부인이 단독으로 오찬을 하는 것은 30년 만이다. 문 대통령 내외는 이 같은 일정을 마치고 11일 오후 공항을 출발해 한국시간으로 12일 밤늦게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한다.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