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사진)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북정책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이견을 지적하며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기대보다 걱정이 큰 회담’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황 대표는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은 ‘제재완화는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에 대해서도 불가입장을 명백히 했지만 우리 정부는 ‘굿이너프딜’이라면서 포괄적 합의에 기반을 둔 단계적 보상방안을 여전히 주장하고 있다”며 “회담 전망이 그다지 밝지 않아보인다”고 말했다 .
그는 정부를 향해 “중재자가 아니라 사실상 북한의 변호인이 되겠다는 것이냐”며 일침을 날렸다. 황 대표는 “지금 우리나라를 지키는 길은 남북 경협이 아니라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대북제재를 기반으로 한 완전한 북핵 폐기”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 본연의 자세와 책임감을 갖고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대북문제보다 한미간 통상 문제 해결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무척 어려운데 미국이 25%에 달하는 자동차 관세 폭탄까지 부과한다면 상상조차 어려운 대위기를 맞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우리 경제와 우리 국민의 삶을 걱정한다면 되지도 않을 남북 경협을 회담 테이블에 올릴 게 아니라 자동사 관세를 비롯한 통상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해야한다”고 충고했다.
문재인 정부의 고용정책을 향한 비판도 이어갔다. 황 대표는 전날 발표된 3월 고용동향 결과를 언급하며 “3040 일자리가 크게 줄고 제조업 일자리도 1년째 폭락했다. 정부가 세금을 퍼부으며 질이 낮은 재정 일자리를 양산하면서 국민을 속이는 ‘통계 조작쇼’를 벌이고 있지만 실제 국민의 삶은 최악으로 내몰렸다”며 “일자리 참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정권의 경제정책 자체를 뜯어고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방진혁기자 bread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