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과 단체협상을 앞두고 자동차 노조가 벌이는 파업은 이제 연례행사가 되다시피 했다. 매년 봄이면 반복되는 ‘춘투(春鬪)’에 자동차 업계는 몸살을 앓는다. 올해는 최근 몇 년 동안 이어진 판매감소와 실적악화로 경영위기가 심화하고 있어 춘투가 현실화될 경우 충격이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된다. 완성차 업체가 파업을 하면 수천 개 협력업체들까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우려스러운 것은 자동차 노조의 춘투가 임금·단체협상을 넘어 갈수록 정치투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차 노조의 파업 이유는 노동법 개악 저지다. 현대차 노조는 추경호 자유한국당 위원 등이 발의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여당이 추진 중인 탄력근로제 확대와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등도 막겠다는 입장이다. 모두 임단협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정치 이슈다.
노조의 파업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는 동안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은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다. 올해 1·4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95만4,900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급감했다. 내수부진에 생산차질까지 겹쳐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연 400만대 생산마저 어려워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자율주행차와 친환경차 기술 개발로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차 업계는 감원과 조직개편 등으로 이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격랑에서 살아남으려면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부터 고민하는 것이 순서다. 회사가 살아야 노조도 산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번 되새기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