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대장암 신규발생 환자는 2만6,790명으로 위암(2만9,207명)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대장암은 유전적 요인과 식이습관, 특히 동물성 지방질의 과다섭취 등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암을 진단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정확하다. 다만 다량의 하제를 복용해 장을 청소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구역·구토 같은 불편감 때문에 검사를 미루거나 꺼리는 경우가 많다.
대장암은 흔히 용종이라고 알려진 대장암 전 단계의 대장선종에서 시작된다. 대장내시경 검사 중 흔히 발견되며 내시경으로 제거(용종절제술)하는 경우가 많다. 대장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대장선종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대장암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크기가 큰 경우 출혈·천공 등에 대처하기 위해 입원치료가 필요할 때도 있다. 2000년 후반부터 치료내시경 기술의 발전으로 ‘점막하박리술’이라는 내시경 시술이 활발하게 시행되면서 과거 수술만 하던 것 중 일부는 내시경적 절제가 가능하게 됐다. 내시경 나이프를 사용해 종양의 주위를 원형으로 미세하게 깎아내 종양을 한 조각으로 완전히 절제할 수 있다.
점막하박리술은 종양이 매우 커 일반적으로 용종절제술에 사용되는 올가미로 완벽하게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크지 않더라도 조기 대장암과 같이 한 조각으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경우, 종양이 평편하고 섬유화가 심해 대장에 단단히 붙어 있어 일반적인 용종절제술로 제거가 불가능한 경우에 시도해볼 수 있다.
이 시술은 과거에 내시경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대장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어렵고 일반적인 용종절제술보다 천공·출혈 등 합병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가와 시술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상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장종양의 경우 모두 내시경적 절제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크기가 작더라도 종양의 분화도가 나쁘거나 종양의 위치가 내시경적 절제를 하기에 좋지 않거나 섬유화가 너무 심한 경우, 조기 이상의 대장암 등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반드시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치료내시경 기술의 발전으로 조기대장암 등 치료에 적용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늘 것으로 보인다. /김진수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