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고종 대에 있었던 경복궁 중건 과정이 상세하게 공개된다.
서울시 서울역사편찬원(이하 편찬원)은 경복궁 중건 내용을 담은 유일한 자료로 알려진 ‘경복궁 영건일기(營建日記)’를 국내 최초로 국문으로 번역, 발간한다고 13일 밝혔다. 편찬원은 “지금까지 경복궁 복원과 연구에 활용한 그 어떤 도면과 문헌 자료도 영건일기만큼 구체적이고 정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편찬원에 따르면 영건일기 번역으로 궁궐 현판 정보, 경복궁 내 물길 체계, 전각의 역할과 건립과정 등을 확인했으며 매번 논란이 일었던 현판 관련 정보의 가치가 클 전망이다.
편찬원은 “영건일기는 고종 때 경복궁 전각을 어떤 재료와 색상으로 제작했는지 기록했다”며 “이를 통해 현재 광화문, 건춘문, 영추문의 오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광화문 현판은 현재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가 적혔는데 원래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자를 뜻하는 ‘묵질금자(墨質金字)’라는 기록이 영건일기에 있다는 사실은 지난해 12월 밝혀진 바 있다.
새롭게 확인된 점은 경복궁 안에 있는 6개의 수문, 4개의 물길, 두 갈래의 도회은구(배수로)다. 편찬원은 또 “침전이나 신하 접견소로 알려졌던 경복궁 연길당과 응지당은 강녕전의 동서 퇴선간으로 음식을 데워서 수라상을 들이던 중간부엌이었고, 강녕전·연생전·경성전은 원래 하나의 전각으로 건립하려다가 분리한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고 전했다.
영건일기는 경복궁 중건 때 매입하거나 기부받은 주변 저택, 군사 300명을 동원해 삼청동에서 돌을 옮긴 일, 25마리 소로 수레를 끌어 주춧돌을 옮기다가 다리가 무너진 일 등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새로 밝혀진 내용은 오는 17일 오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제18회 서울역사학술대회 ‘경복궁 중건의 역사, 첫 장을 열다’에서 만날 수 있다. 또한 경복궁 영건일기 번역본은 서울 주요 공공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
한편 경복궁은 고종 재위 중이던 1865년 4월부터 1868년 7월까지 약 3년에 걸쳐 중건됐으며 경복궁 영건일기는 하급 관리인 한성부 주부이자 중건 실무자였던 원세철이 남긴 기록이다. 편찬원은 지난해 6월 번역에 착수해 올해 2월 초안을 완성했다.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