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차기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윤대진(55·25기) 법무부 검찰국장과 함께 이성윤(57·23기)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국장은 검찰 내 ‘소윤’으로 불리며 ‘대윤’인 윤 후보자와 막역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자가 중앙지검을 이끈 첫해에 차장검사 중 선임인 1차장검사를 맡아 호흡을 맞췄다. 지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해 당시 수석이던 문재인 대통령과도 인연이 있다. 지난해 6월 검찰 내 요직인 법무부 검찰국장으로 자리를 옮길 때 전임자보다 4기수가 낮은데도 선임됐다. 윤 후보자와 동기인 이 부장도 강력한 후보군이다. 이 부장도 참여정부 인사로 분류된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윤 국장 전임으로 대통령 사정비서관실 특별감찰반장을 맡아 문 대통령과 보조를 맞췄다. 세월호 사건 당시 목포지청장으로 근무하며 검경합동수사본부장을 맡는 등 문 대통령의 신임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두 인사와 함께 ‘노무현 정부 청와대 행정관 출신 3인방’으로 꼽히는 조남관(54·24기) 대검 과학수사부장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그는 2006년 민정수석비서관실 행정관으로 파견된 바 있다.
이외에 ‘김학의 수사단’을 이끌었던 여환섭(51·24기) 청주지검장도 물망에 오른다. 적폐수사를 이어가겠다는 기조하에서 검증된 특수수사 능력을 높이 사 기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강원랜드 수사를 맡았던 양부남(58·22기) 의정부지검장이 낙점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강원랜드 수사 당시 대검 수뇌부와 각을 세웠던 기개를 높이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윤 후보자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앙지검 등 재경지검·수원지검 등에는 그와 호흡을 맞추면서도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친정부 인사가 중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파격 인사로 기존 10명 안팎에서 15~17명 수준으로 늘어난 검사장 승진 규모도 화제다. 사법연수원 24~26기였던 검사장 승진 대상이 27기로까지 확대되면서 누가 승진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27기 중에서는 선두주자인 한동훈 서울중앙지검 3차장, 주영환 대검 대변인, 이원석 해외불법재산환수합동조사단장이 거론된다. /조권형·오지현기자 bu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