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전북도 교육감이 상산고에 대한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취소 결정과 관련해 24일 “상산고 자사고 지정취소 결정에 대한 정치권의 압박은 교육감에게 불법을 저지르라고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육감은 이날 도 교육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고 평가는 자체평가단이 자율적으로 엄격한 절차를 거쳐 내렸다”며 “평가 과정에 교육감 의도가 조금도 들어가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정치권이 조언할 수는 있지만 (조언을 넘어) 개입하는 것은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며 “어떤 압력을 (정치권이) 넣는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밝히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그는 청와대가 자사고 취소에 제동을 걸었다는 일부 매체 보도를 “페이크 뉴스(가짜뉴스)”라고 표현하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이 자신들 소망을 청와대라는 이름을 빌려 말한 것이라고 본다”며 “김승환과 전북교육청은 호락호락하지 않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앞서 민주평화당과 바른미래당 등 정치권은 지난 20일 전북교육청이 상산고에 대한 자사고 지정취소 결정을 내린 데 대해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김 교육감과 전북교육청에 지정취소 결정 재고를 촉구한 바 있다.
김 교육감은 논란이 된 자사고 지정 기준 점수 상향에 대한 입장과 교육부 장관 동의 절차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70점은 전주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도 쉽게 넘길 수 있는 점수”라며 “1기 자사고인 상산고는 그보다 높은 기준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북교육청은 자사고 지정 기준 점수를 다른 시·도 교육청(70점)보다 10점 높은 80점으로 정했다.
아울러 그는 “교육부 장관이 전북교육청 결정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부동의가 이뤄진다면 권한쟁의 심판 절차에 들어가는 등 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때 자사고 지정취소 과정에 교육부 장관동의 절차를 뒀다”며 “촛불 정부에 알맞게 동의권을 없애야 맞는 것 아닌가 한다. 남의 칼을 빌려서 일하는 게 논리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전북교육청의 상산고 자사고 지정취소 결정은 해당 학교를 상대로 한 청문과 교육부 장관 동의를 거쳐 확정된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