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추경안 처리는 계속 지연될 수밖에 없다. 한국당이 협조하지 않으면 상임위별 예산 심사가 어려운데다 5월29일 임기가 만료된 예결특위 위원도 새로 선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여야는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기 싸움과 명분 대결에 집착하면서 ‘식물국회’ 장기화 사태를 방치해왔다. 이제 반쪽만 가동된 국회를 정상화하려면 여야 양측이 한발씩 양보해야 한다. 여당은 패스트트랙 법안 합의 처리와 관련해 더 진전된 입장을 내놓고 야당을 설득해야 한다. 한국당도 더 이상 조건을 내걸지 말고 즉각 국회로 복귀해야 한다. 국회 정상화가 늦어지면 경제난과 안보기강 해이 등에 따른 총체적 난국을 수습하기 어렵다. 여야는 함께 국회를 열어 탄력근로제 확대 및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관련법, 경제 활성화 관련법 등 시급한 민생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 민생 법안 처리가 지연되면 그 피해는 국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