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 사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대전시는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 적격성조사를 통과했다고 27일 밝혔다.
KDI는 지난 2016년 5월부터 대전하수처리장 이전과 현대화 민간투자 사업에 대한 적격성 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이전 사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B/C)이 1.01로 나타났다. 민간투자 적격성분석(VFM)에서도 민간투자 사업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원촌동 일원 대전하수처리장(65만 톤/일)과 오정동 분뇨처리장(900톤/일)을 통합하는 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을 총사업비 8,400억 규모의 민자사업으로 오는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09년 5월부터 대전하수처리장 시설노후화 및 악취에 따른 원촌동주민의 이전요구, 대덕연구개발특구 개발에 따른 도시여건 변화로 이전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2011년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 연구용역’을 실시했고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완전이전’ 방식으로 사업 방향을 정한 바 있다.
이어 오는 2025년까지 추진방침을 공표한데 이어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일부변경 등 행정적 절차를 진행해 왔다.
대전시는 재정여건상 막대한 이전비용 투자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2016년 2월 한화건설이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함에 따라 민간투자사업을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검토했고 2016년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민간투자사업 제안서 적격성조사 검토를 요청했다.
대전시는 하수처리장 이전을 통해 안정적 하수처리 체계 구축은 물론 악취 문제의 근본적 해소,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 대덕연구개발특구 재창조를 위한 토지자원 확보 등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를 통해 시민의 안정적 생활하수 처리는 물론 사업 후 원촌·전민·문지동 일원 5만여 세대의 악취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사업시행에 따른 1조6,000억원 규모의 생산 유발효과와 1만200명의 취업 유발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최근 건설한 하수처리장은 하수처리장을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은 시민 체육시설등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이 신설되는 금고동 일원에도 대규모 주민 편익시설이 생기는 것”이라며 “4차산업혁명특별시 기반 구축을 위해 대동·금탄지구 개발사업이 가시화되면 대전 북측도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앞으로 사업추진에 필요한 시의회 동의,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 사업시행자 선정을 위한 제3자 공고,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협약 체결 등 후속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계획대로 2021년 착공 및 2025년에 준공할 방침이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