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전날 이 총리의 발언과 관련해 “발언록을 보면 ‘대일특사 등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 총리께서 ‘여러 가지 외교적 해결방법 등을 모색하고 있다’는 식으로 말한 것으로 본다. 본인이 직접 언급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사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이지 그 이상은 확인해드릴 수 있는 게 없다”며 “어제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비상대응체제를 갖춰서 민관이 함께 힘을 모으고 부처도 분야별로 면밀히 상황을 체크하면서 대응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특사는 시기를 정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축하 사절용 특사가 아닌 이상 조용히 정해서 보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아마 지금쯤은 일본과 물밑 채널을 가동하고 있지 않겠느냐”며 “지일파인 이 총리를 특사로 보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국무총리라는 자리의 무게감을 감안하면 이 총리를 특사로 기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여권 일각에서는 라종일 전 주일 대사, 서훈 국정원장 또는 문 대통령의 최측근인 청와대 고위 인사의 특사 발탁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표적인 일본통으로 꼽히는 김현철 전 청와대 경제보좌관도 특사 후보 중 하나로 꼽힌다.
대일특사 파견 논의는 일본의 참의원 선거가 끝나는 이달 21일 이후에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강제징용 배상안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이 중재안을 내놓고, 접점을 찾는 과정도 필요하다.
여권 내부에선 현 시점에서는 대일특사 파견이 논의될 단계가 아니라는 신중론도 팽배하다.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맡고 있는 강창일 민주당 의원은 “특사는 일이 마무리될 때 파견하는 것으로 지금은 그럴 단계가 아니다”라며 “외교적 역량을 포함한 다각적인 노력을 우선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일본 경제보복은 안보와 직결된 사항으로 미국 설득이 관건”이라며 “미국 기업도 이번 경제보복으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한미일 동북아 안보에 결정적인 장애가 된다는 점을 미국에 알리는 작업이 최우선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홍우·송종호기자 seoulbir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