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는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거론하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2.0%로 대폭 낮췄다. 이에 앞서 피치는 2.5%에서 2.0%로, 무디스는 2.3%에서 2.1%로 내렸다.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는 2.2%에서 1.8%로, 골드만삭스는 2.3%에서 2.1%로 낮췄다. 신용평가사와 투자은행이 모두 전망치를 줄줄이 하향 조정하고 있는데 정부만 나 홀로 낙관론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홍 부총리의 근거 없는 자신감과 낙관론에 실소를 금할 길이 없다.
눈여겨볼 것은 S&P가 별도의 보고서에서 “한국 기업의 신용등급이 실적 악화 등으로 본격적인 하락 국면에 진입했다”고 경고한 점이다. 글로벌 수요 둔화와 무역분쟁 심화가 최근 한국 기업들의 실적 저하로 나타났고 앞으로 12개월 동안 신용도 부담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S&P가 경고 수위를 높이면서 국내 간판 기업들의 무더기 신용등급 강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해외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기업 경영도 불안정해진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경제성장률 하락보다 더 큰 발등의 불인 셈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1일 공개한 하반기 기업환경 전망 보고서에도 이런 현실이 반영됐다. 기업 93%가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 초반에 그칠 것으로 본 기업도 60%에 달했다. 정부의 인식과는 달리 현장은 경제를 그만큼 어렵게 보고 있다는 얘기다. 정부가 지금처럼 안이한 경기인식을 고수한다면 경제위기 극복은 난망이다.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첫걸음은 경제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