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눈치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일본이 금융보복을 하더라도 우리 금융의 일본 의존도가 높지 않고 대체 가능성이 높으며, 외환보유액도 충분하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물론 그렇게 판단할 수도 있지만 ‘경제는 심리’인 만큼 전혀 예상하지 못한 변수에 우리 금융시장이 휘청거릴 가능성에도 당연히 대비해야 한다.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둬야 할 이유는 또 있다. 은행·증권사·여신전문금융사와 달리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대부업계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파장은 한층 더 심각해질 수 있다. 일본계 대부업체는 대부업 시장 전체 대출 잔액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거나 자금 회수에 나서면 더는 자금을 융통할 방법이 없는 서민층이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정부는 항상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해 모두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