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랏말싸미’를 연출한 조철현(사진) 감독이 작품을 둘러싼 역사 왜곡 논란에 대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폄훼하고자 한 것이 결코 아니다”고 밝혔다.
조 감독은 29일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에서 “이 영화는 세종대왕이 문자를 만드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영화로 고뇌와 상처, 번민을 딛고 남은 목숨까지 바꿔가며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들어 낸 그의 애민 정신과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군주로서 위대해져 가는 과정을 극화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감독은 “세종대왕께서 혼자 한글을 만드셨다 하더라도 그 내면에서 벌어졌을 갈등과 고민을 드라마화하려면 이를 외면화하고, 인격화한 영화적 인물이 필요한데, 마침 신미라는 실존 인물이 그런 조건을 상당히 가지고 있었기에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조 감독은 그 이유로 △신미의 동생이자 집현전 학사인 김수온의 문집 ‘식우기’ 중 ‘복천사기’에 세종대왕께서 신미를 산속 절에서 불러 긴밀한 대화를 나눴다는 기록이 있는 점 △실록에도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이 스승처럼 모셨고, 세종대왕이 돌아가시기 두 달 전 신미를 침실로 불러 법사(法事)를 베풀었다는 기사가 있는 점 △세종대왕 유언으로 그에게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라는 칭호를 내린 점 등을 들었다.
그는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조선왕조실록에 훈민정음 창제 기록이 처음 등장한 1443년 12월 이전의 역사 공백을 개연성 있는 영화적 서사로 드라마화할 만한 근거가 되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십년간 세종대왕을 마음에 품고 살아왔기에 이 영화에 대해 반감을 표하는 분들의 마음을 안다”면서 “그러나 제작진의 마음과 뜻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폄훼하고자 한 것이 결코 아니다. 세종대왕과 한글의 위대함을 그리고자 했다”고 항변했다.
송강호·박해일 주연 ‘나랏말싸미’는 세종이 승려 신미와 손잡고 한글을 창제했다는 가설을 토대로 한 작품으로, 신미가 주도적으로 한글을 만든 것처럼 묘사돼 개봉과 동시에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총제작비 130억원이 투입된 대작임에도 개봉 이후 약 76만명을 불러들이는 데 그쳤다. /나윤석기자 nagij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