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이나 귀촌자 10명 가운데 4명은 마을 리더로 변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귀농·귀촌인 1,039명의 동의를 받아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귀농·귀촌인의 준비에서부터 이주·정착과정, 경제활동, 지역사회활동 등의 변화 추이를 5년 동안 진행한 것이다.
농진청에 따르면 귀농·귀촌 후 정착기간이 길수록 이들은 지역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35.5%는 마을 리더로 활동하고 있었다. 조사에서 귀농·귀촌인들이 마을개발사업(마을법인, 체험마을 등)에 참여하는 비율은 2015년 34.1%에서 2018년 42.2%로 증가했다. 특히 마을개발활동이나 모임(청년회, 부녀회, 지도자회 등)의 리더로 활동하는 비중도 2015년 30.7%에서 2018년 35.5%로 늘었다.
조사 대상 귀농·귀촌인들은 기존 농업인들보다 상대적으로 젊고 다양한 분야에서 학위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었다. 50세 이하가 37.9%, 학위·자격증 보유자가 59.7%에 달했다. 이로 인해 정착에 성공한 경우 청년층이 떠난 농촌, 산촌에 새 바람을 불어넣으며 마을 리더로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최근 귀농·귀촌인들은 긴 준비 기간을 두고 귀농·귀촌을 준비하고 교육과정도 많이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이수 시간은 전체 평균 118.9시간으로 파악됐다. 또 가족 단위 이주가 절반 이상(51.4%)이었으며, 초기에 혼자 이주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가족 합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사를 시작할 때 농지를 구매한 경우가 41.4%, 임차한 경우가 26.2%였으며, 1년 안에 54.9%가 농지를 사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귀농·귀촌 후 정착기간이 길어지면서 농업과 다른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겸업 비중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영농 전업은 2014년 49%에서 2018년 44.8%로 감소한 반면 겸업은 2014년 27.9%에서 2018년 35%로 늘었다. 귀농인들은 농산물 가공, 관광·체험, 숙박·식당 등으로 경제활동 범위를 넓히면서 소득을 높여가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귀농·귀촌인들 스스로 자신의 선택이 ‘성공적인 편’이라 평가하는 경향도 증가했다. 귀농·귀촌이 ‘성공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 46.2%에서 2018년 58.1%로 늘었다. 영역별 성취만족도는 개인의 행복과 만족(3.6점/5점 만점), 원만한 가족관계(3.4점), 주민 융화(3.3점) 순이었다.
귀농·귀촌 동기를 보면 40세 이하에서는 생태적 가치, 공동체 등을 추구하는 대안가치형이 많았고 41세 이상에서는 은퇴·전원형이 다수였다.
귀농·귀촌인들은 정착 과정의 어려움에 대해 여유자금 부족(46.9%), 영농기술 습득(27.1%), 생활불편(25.1%), 농지 구입(25%) 순으로 답했다. 지난 5년 동안 89명(8.6%)이 도시로 이주하였으며, 요인은 영농실패(18명), 일자리(5명), 건강(5명), 자녀교육(5명) 등이었다.
김미희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장은 “귀농·귀촌인들이 정착 후 마을리더로 활동하는 등 농촌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귀농·귀촌인과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활성화 연구 수행 등 귀농·귀촌 흐름을 이어가기 위한 정부의 정책 추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