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전쟁의 와중에 맞은 올해 광복절은 한일관계의 향배를 가늠할 잣대로 주목돼왔다. 그런 점에서 문 대통령이 강경 일변도의 대응에서 벗어나 일본에 대화와 협상을 촉구하며 외교협상의 문을 열어놓은 것은 시의적절한 선택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일각의 예상과 달리 고강도 비판을 자제하면서 강제징용이나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두 나라 국민들 간의 우호가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거나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이끌어가자고 제안했다. 양국 국민의 폭넓은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을 만한 품격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요한 것은 정부가 한일갈등 해소를 실천으로 옮기는 일이다. 이는 문 대통령의 지적대로 ‘과거를 딛고 미래로 가야 한다’는 냉철한 현실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감성적 접근에서 벗어나 실현 가능한 외교적 해법을 찾는 데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 때마침 다음달 유엔총회와 10월 일왕 즉위식, 아세안+3 정상회의 등 잇단 외교의 장이 열린다. 무엇보다 실타래처럼 얽힌 문제를 풀자면 대승적 차원에서 해법을 찾겠다는 양국 지도자들의 열린 자세가 중요하다. 일본도 경제보복의 악순환은 피해만 키울 뿐이라는 절박한 인식을 갖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
문 대통령은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목표로 경제강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국민 모두의 한결같은 바람일 것이다. 그러자면 동아시아의 중요한 파트너인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궤도에 올려놓는 일이 급선무다. 양국 지도자들이 열린 자세로 외교경색 국면을 풀어가기를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