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는 올해 부채비율을 163%, 2022년에는 156%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1년 사이 재무건전성이 나빠질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회계기준 변경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한국전력과 건강보험공단의 재무전망을 보면 그게 다가 아니다. 탈원전을 추진하는 한전 부채는 올해 59조원에서 2023년 78조원, 부채비율도 112%에서 154%로 뛴다. ‘문재인케어’와 관련된 건강보험공단의 경우 같은 기간 부채가 13조원에서 17조원으로, 부채비율은 74%에서 133%로 2배 가까이 치솟는다.
이미 한전은 지난해 1조1,0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냈고 흑자였던 건강보험공단은 3조9,000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정부가 무리한 정책 추진에 이들 공공기관을 동원하는 데 혈안이 돼 있으니 재무건전성이 좋아질 리 있겠는가. 그러잖아도 공공기관은 비효율과 방만경영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런 문제에는 손도 대지 않은 채 계속 정책의 희생양으로 삼으려 하니 답답할 뿐이다.
공공기관 부채는 표면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실상의 국가채무다. 이런 식으로 공공기관의 재무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다 보면 결국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적자와 부채가 쌓이면 요금을 올리거나 세금으로 메우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미래 세대에 부담을 지우는 일이다. 이제라도 공공기관 부채의 위험성을 직시하고 속도 조절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