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국토종합계획의 기본 방향과 정책을 지역 차원에서 구체화하고 국토종합계획에서 다루지 못한 도 차원의 정책과 사업을 포함, 지역의 경제·사회·문화 등 각 부문 계획을 담게 된다. 도 종합계획은 시·군 종합계획 등 하위 계획의 방향과 지침이 되는 한편 민간 부문에 대해서는 투자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도는 이번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추진기획단을 구성·운영한다. 10개 분과 82명으로 구성하는 추진기획단은 기획조정실장이 단장을 맡고 분과별로 정책자문단과 충남연구원 연구진이 참여한다. 충남도는 이와 함께 대학과 국책연구원 관계자들로 전문가 자문단을 꾸려 계획 수립 완료 시까지 자문을 받는다.
특히 도민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종합계획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도민참여단을 구성·운영한다. 50∼100명으로 구성하게 될 도민참여단은 2040년 미래상 및 부문별 이슈 도출 활동 등을 하게 된다. 이밖에 지역의 전문가와 NGO 관계자 등으로 혁신가 플랫폼도 구축, 지역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국가 지원 필요성이 높은 계획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 김 부지사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서 충남도의 비전으로 제시한 ‘환황해권 시대를 여는 포용적이고 더 행복한 복지수도 충남’이라는 기본 방향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 및 여건을 반영해 2040년 충남의 미래 발전 전략을 구체화하는 계획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내년 3월까지 도민정책참여단을 운영하고 4대 권역별 공청회와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중앙국토정책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12월 종합계획에 대한 국토교통부 장관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