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는 한번 감염되면 폐사율이 100%에 달해 ‘돼지 흑사병’으로 불릴 정도로 치명적인데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다. 지난해 하반기 중국을 시작으로 몽골·베트남·캄보디아에 이어 5월에는 북한에서도 발생할 만큼 감염속도 역시 빠르다. 현재로서는 농장의 위치 등을 고려할 때 북한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니 일찍이 야생 멧돼지를 차단하고 북한 측과 협의하겠다던 정부의 대책이 제대로 가동됐는지 의문이 든다. 게다가 지난달 전국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점검도 구멍이 뚫린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최근에는 국내 입국한 중국 여행객의 소지품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늑장 대응했다는 지적도 제기돼 허술한 방역망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2011년 구제역 발생 당시 초기 방역에 실패해 3조원가량의 손실을 입어야 했다. ASF는 과거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에 비해 피해 규모나 파장이 훨씬 클 수밖에 없다. 중국은 이미 전체 돼지의 30%에 달하는 1억3,000만마리를 단계별로 살처분할 정도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내 생산량마저 감소하면 돼지고기 수급에 상당한 차질이 우려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방역당국과 농가는 앞으로 일주일이 확산 여부를 결정짓는 관건인 만큼 추가 전염을 막을 수 있도록 초동 방역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주요 감염원인 잔반 급여를 금지하고 농장 진출입을 삼가는 등 방역태세에 한 치의 소홀함 없이 관리하고 대처해야 한다. 당국은 가뜩이나 소비가 위축된 마당에 돼지고기 수급 차질로 서민 가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사전 대책을 마련하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