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전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는 “북한은 사회주의라는 뼈대만 있고 육체는 이미 자본주의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의 18일(현지 시간) 보도에 따르면 태 전 공사는 최근 대만 타이베이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물질주의가 언젠가는 북한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북한의 밀레니엄 세대에 대해 그는 “공산·사회주의 문화 콘텐츠에는 관심 없고 미국·한국의 영화·드라마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그들의 시선은 이념이 아니라 물질에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이 막으려고 해도 막을 수 없는 미래”라고 강조했다.
태 전 공사는 ‘북한 내부의 변화 시도가 있겠는가’라는 질문에는 “지금은 그 시점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2세대이지만 홍콩 시위대는 3세대로 이념적인 대결이면서도 실제로는 세대 대결”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 지도부에서는 김정은이 유일하게 30대이지만 그의 주변은 60대 후반부터 70대·80대”라며 “여전히 권력이 무자비한 2세대들의 손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젊은 세대들은 들고일어나면 즉각 진압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그렇지만 10~20년 이후에 3세대가 권력을 쥔다면 사람들이 용감하게 거리로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3세대 지도자로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개혁을 수용할 가능성에 대해선 “없다”고 단호하게 말하면서 “김씨 일가는 왕조가 이어지기를 원한다. 북한의 최종적인 변화는 김씨 왕조의 붕괴”라고 주장했다.
태 전 공사는 북미 협상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매우 위험한 게임을 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을 멈추는 어떤 중대한 조치도 얻어내지 못했지만 김정은은 (미국의) 군사옵션과 추가 제재를 피하면서 통치의 합법성을 강화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은 비핵화 의지가 없다”고 거듭 주장하며 “인도와 파키스탄처럼, 핵보유국 지위를 확보하는 유일한 길은 시간을 버는 것이라고 김정은은 생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