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20일 ‘손 대표가 최고위원회를 장악하기 위해 윤리위원회를 통해 최고위원인 하태경 의원을 징계했다’는 반당권파의 주장에 대해 “개인 모독을 넘어 당에 애정을 갖고 독립기관으로서의 지위와 존엄성을 지키고자 노력해온 윤리위원장과 윤리위원들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절차도 명분도 모두 정당하다는 것이다.
손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신을 찾아온 지상욱 의원과 ‘설전’을 벌인 뒤 “윤리위의 결정을 당 대표가 철회할 수 없다”고 했다. 윤리위는 자신이 관여할 수 없는 ‘독립기구’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문병호 최고위원은 바른미래당 당헌에 규정된 최고위 과반수 의결과 관련해 “최고위 숫자가 9명인데 5명이 출석해야 의결할 수 있다”며 논란을 일축했다. 다만 윤리위에서 심사 중인 이준석 최고위원의 징계가 하 의원과 같은 수준으로 내려질 경우 당권파 최고위원만으로도 과반수가 가능하다.
아울러 손 대표는 하 의원의 징계가 무효라는 주장에 당 윤리위 이해충돌방지 규정을 언급하며 “직접적 이해 당사자인 하 최고위원이 날인한 불신임 요구안과 긴급안건 상정 요구서 모두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윤리위원장이 불신임돼 결정은 무효라는 주장에는 “윤리위원장 불신임은 최고위원이 아니라 최고위원회 권한”이라며 “의결되지 않고 요구안만 가지고는 효력이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손 대표는 전날 “정치를 추하게 할지 몰랐다”는 유승민 의원의 발언에 “정치인의 발언에 품격이 있으면 좋겠다”고 맞받아쳤다.
/방진혁기자 bread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