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 만한 대목은 대표적인 강성노조이자 국내 완성차 노조의 리더 격인 현대차 노조가 인력감축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다. 전기·수소차로 넘어가는 변화에 발맞추지 않으면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은 조립이다. 전기차의 경우 차량 한 대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부품 수가 내연기관차(약 3만개)의 절반에 불과하다. 단순 계산을 해도 필요 인원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거센 변화에 직면한 국내 자동차 산업의 현주소는 한심하기 짝이 없다. 친환경차 분야의 기술력은 선진국 대비 90%, 자율주행차 분야는 75% 수준에 그치는 반면 국내 완성차 5개사의 평균 임금은 도요타를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에 비해 턱없이 높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현대차 노조가 8년 만에 무분규로 올해 임금협상과 단체협약을 완전히 타결했다. 현대차 파업은 해마다 치러지는 통과의례였다. 최근 3년만 따져도 임단협 때마다 파업이 평균 17일간 이어졌고 8만대 이상의 생산 차질을 빚었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노사가 손을 맞잡고 한발씩 양보했지만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노조는 20% 감축안을 최대치로 받아들인 반면 사측은 최소치로 판단하고 있다. 사라질 일자리로 지목된 일부 파트의 반발이 여전히 거세다. 이번 기회에 우리 산업의 고질병인 고임금·저효율 생산구조를 뜯어고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정부도 노조의 눈치를 보느라 손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노동 경직성을 초래하는 정책부터 손질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