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가 대중매체에서 검증되지 않은 의료지식을 의료지식을 전달하는 전문가의 부적절한 활동에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약사회는 25일 입장문을 내고 방송에서 한의사와 의사들이 잘못된 의료정보를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 비판했다.
약사회는 “최근 동물 구충제인 펜벤다졸이 항암효과가 있다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유튜브를 타고 확산되고 있고, 인기 방송인인 한 한의사는 물파스가 중풍을 예방한다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등 잘못된 정보가 여과없이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한술 더 떠서 내과 전문의로 알려진 의료전문가가 사람 구충제도 항암효과가 있다며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으니 대한약사회로서는 깊은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약사회는 이어 “의약품은 엄격한 실험과 검증을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허가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판매할 수 있고, 판매 후에도 허가 과정에서 인지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부작용은 없는지 지속해서 사후 안전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며 “의약품의 전 주기 안전관리 체계는 오랜 세월 동안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여러 사회적 비용을 치르며 오늘날의 제도로 정착된 것”이라고 전했다.
약사회는 “전 세계적으로 충격을 불러일으키며 의약품안전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을 이끌었던 탈리도마이드 사태를 비롯하여 최근에도 각 효능군 시장을 선도했던 프레팔시드(cisapride, 위장관운동개선제), 리덕틸(sibutramine, 비만치료제), 바이옥스(rofecoxib, 관절염치료제) 등의 블록버스터 신약들이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보고되며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심지어는 일반의약품으로 감기약의 대명사였던 콘택600(phenylpropanolamine)도 2004년 출혈성 뇌졸중을 유발한다는 부작용이 보고되며 우리 곁에서 자취를 감춘 바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약사회는 “꿈의 항암제로 국산 신약에 대한 기대감을 부풀리며 임상 3상 전 제한적으로 판매 허가되었던 한미약품의 올리타(olmutinib, 폐암치료제), 신라젠의 팩사벡(JX-594, 항암바이러스물질) 등이 마지막 유효성 검증단계를 넘지 못하고 좌절되어 암환자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준 것이 또한 최근의 일”이라며 “동물실험은 물론 인체를 대상으로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임상시험과정을 거쳐 인류의 질병 치료에 새로운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던 촉망받는 신약들조차도 유효성·안전성 입증이라는 의약품 허가의 장벽을 넘는 것이 극히 어렵고, 엄청난 시장 점유율과 매출액에도 불구하고 판매 후 사용과정에서 알지 못하였던 부작용이 드러나 퇴출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의약품의 숙명”이라고 강조했다.
약사회는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해 과학적?임상적 검증도 거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객관적 근거도 없는 물질을 일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있다는 믿거나 말거나 식의 ‘설(說)’에 기대어 사용하는 것은 무용할 뿐만 아니라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전문가란 사람들이 우려스러운 사회 분위기 확산을 조장하고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부추기는 것은 개인의 의사 표현의 자유를 넘어 의료인으로서 자질과 윤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약사회는 그러면서 “한번 잃으면 돌이킬 수 없는 생명에 대한 가장 올바르고 지혜로운 선택은 다름 아닌 우리 사회가 공신력 있게 인정하고 있는 보건의료시스템을 이용해 해당 질환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검증된 치료법에 맡기는 것”이라며 정부는 생명을 위협받는 환자의 절실함을 이용하거나 또는 간과하여 환자가 근거가 매우 부족한 정보에 기대도록 조장하는 것을 결코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대한약사회는 끝으로 “근거 없이 유튜브 등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는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왜곡된 정보 차단 및 이를 조장하는 보건의료인 제제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국민들께는 소중한 자신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공인된 보건의료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증된 치료법에 따르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