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중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동맹관이 논란이 되는 가운데 미 정치권에서 한미동맹을 존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30일 나왔다.
내년부터 적용될 11차 한미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협상이 본격화된 가운데 한미동맹이 비즈니스 관계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미 조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상원 군사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잭 리드 의원은 “한국이 미한 상호방위와 안보,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해 상당히 기여한 값진 동맹국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공화당 내에서도 한국 정부의 기여를 강조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공화당의 댄 설리번 상원 의원은 한국 정부가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의 건설비용 대부분을 부담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핵 없는 한반도와 억지라는 광범위한 전략적 목표를 늘 염두에 두고, 동시에 오랜 동맹으로서 걸어온 길을 인식하며 방위비 분담 협상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의 동맹관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잇달았다. 팀 케인 상원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독재자들과 친하게 지내려는 것보다 더 우려되는 점은 계속해서 미국의 동맹국들을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은 물론 미래에도 미국의 안전은 동맹의 힘에 달렸다”며 “이견이 있다면 따로 조용히 의견을 개진해야지 가장 가까운 나라에 공개적으로 공격을 퍼부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 하원 의원들은 미국의 아시아전략 핵심 동맹국인 한일의 갈등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을 촉구했다. 브래드 셔먼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은 28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자신을 포함한 14명의 하원 의원들이 오는 11월 아세안(ASEAN) 확대 국방장관회의를 계기로 한일갈등을 중재해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냈다고 밝혔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