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가 더불어민주당으로 복귀해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고 총선에 출마하는 방안도 꾸준히 흘러나온다. 총리가 바뀔 경우 사유도 총선 포석이 되는 셈이다. 이 총리의 후임으로 두 갈래가 거론된다. 하나는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박지원 대안신당 의원 등 야당 인사들이다. 이들 중에서 후임 총리가 나온다면 총선 표심을 의식해 ‘협치’ 모양새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후보군으로 정세균·김진표·원혜영 의원,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등 여당 인사들이 있다. 이런 카드를 쓴다면 총선을 앞둔 ‘중진 물갈이’용으로 볼 수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후임으로 추미애 의원을 검토하는 것도 물갈이 포석이다. 지난해 10월 임명된 유은혜 교육부 장관의 총선 재출마 방안도 거론된다. 그렇게 되면 유 장관은 1년여간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자사고·외고 폐지 밀어붙이기 등으로 교육 혼란을 부채질하고 총선을 위한 스펙만 쌓은 채 물러나게 된다. 안보 불안과 경기침체 등 다층적 위기상황에서 개각을 총선용 이벤트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 문재인 정부의 후반기를 이끌어갈 새 내각 인선은 국정 성과를 내고 국민 통합을 이루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