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가 평소보다 덜 다닌다고 해서 걱정했는데 평소와 다를 바가 없었어요.”
철도노조 파업 이후 첫 주말이 시작된 23일 서울 시내 주요 대학의 수시 논술과 면접이 치러진 가운데 시험장에 가기 위해 지하철과 기차를 이용한 수험생들은 대체로 큰 불편을 겪지 않았다. 파업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열차를 놓쳐 시험에 지각을 하거나 열차표를 구하지 못하는 등 사고가 속출할 것이라는 당초 우려와는 상황이 다른 것이다.
파업 이후 첫 주말인 이날 각종 열차 운행률은 평소에 비해 줄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KTX는 평시의 330대에서 224대로 줄어 운행률이 68.9% 수준이다. 수도권 광역전철은 1,902대에서 1,560대로 줄어 평시 대비 82% 운행한다. 새마을호는 74대에서 44대로 줄어든 58.3%, 무궁화호는 284대에서 178대로 줄어든 62.5%, 화물열차는 172대에서 58대로 감소한 31%만 운행한다.
하지만 코레일이 수험생을 위한 ‘특별 대책’을 시행하면서 연착으로 인한 지각 등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은 이번 주말 수험생이 이용하는 열차가 지연될 경우 KTX를 포함한 모든 열차에 추가 운임 없이 무료로 환승할 수 있도록 했다. 도착역에서 시험장까지 긴급 수송할 수 있도록 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조 체제도 구축했다.
이날 수시 논술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지하철 3호선을 탔다가 2호선으로 갈아타고 서울 성동구 한양대를 찾은 이모(19)양은 “시험을 보러 오면서 불편함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며 “연착도 없었고 역사가 지나치게 붐비지도 않았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논술시험을 치르려고 부산에서 상경한 김모(18)군도 “파업 중이라는 사실을 뉴스를 통해 알고 있어서 표를 예매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말했다.
대학가에 따르면 이날 고려대 학교추천Ⅱ(인문), 서울대(의대, 치의대, 수의대), 연세대 자연·국제계열 면접과 경북대, 부산대, 중앙대(자연), 한양대(인문)의 논술시험이 치러졌다. 24일에는 고려대 학교추천Ⅱ(자연) 면접, 중앙대(인문), 한양대(자연) 등이 논술시험이 예정돼 있다.
한편 철도노조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조계사 앞에서 열리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의 ‘현장 인력 충원, 임금피크제 폐지, 대정부 교섭 승리, 철도 파업 승리 결의대회’에 전국에서 8,000여명의 조합원이 상경해 참석한다고 밝혔다.
/이희조기자 lov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