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년간 일본 중의원 의원을 지내며 일본 사회의 보수·우경화를 주도했던 현대 정치사의 산증인인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가 향년 101세로 별세했다. 29일 교도통신은 나카소네 전 총리가 도쿄 시내의 한 병원에서 오전7시께 타계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918년 5월27일 군마현에서 태어난 나카소네 전 총리는 도쿄대를 졸업한 후 옛 내무성에서 관료생활을 시작해 종전 직후인 1947년 28세 때 중의원에 처음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그는 1947년부터 20회 연속으로 중의원(하원) 의원에 당선하는 전무후무의 기록을 남겼다.
1959년 기시 노부스케(1896∼1987년) 내각에서 과학기술청 장관으로 입각한 것을 시작으로 방위청 장관, 통산상, 자민당 간사장과 총무회장 등을 역임하고 1982년 11월 제71대 총리를 맡아 73대까지 연속 재임했다. ‘전후 정치의 총결산’을 내건 그의 총리 재임 기간은 1,806일로 아베 신조, 사토 에이사쿠, 요시다 시게루,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에 이어 전후 다섯 번째 장기 정권(4년 11개월)을 이끌었다. 일본 국철(현 JR) 분할과 민영화를 추진했고 일본전신전화공사(NTT 각사의 전신), 일본전매공사(JT) 민영화 등의 구조개혁을 주도했다.
나카소네 전 총리는 1960년대 초반 한일 양국의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일본 정계의 대표적 지한파로 김대중 전 대통령, 박태준 포항제철 초대사장, 김종필 전 총리 등과도 가까웠다. 1983년에는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경제협력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그러나 1985년 8월15일 태평양전쟁을 이끈 A급 전범들의 위패가 있는 야스쿠니신사를 일본 총리로는 최초로 공식 참배하며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 이후로는 야스쿠니 참배를 중단했지만 50여년간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일관되게 전후 정치 총결산을 내걸고 평화헌법 개정 등 일본의 우경화를 앞장서 주창해왔다. 1994년 일본이 전후 50주년을 맞아 전쟁범죄에 관한 사죄 결의를 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을 피력하는 등 한평생을 우익 정치인으로서의 길을 걸어 일본 우파세력의 상징으로 통했다.
총리에서 물러난 후 하시모토 류타로(1937∼2006년) 총리 시절 종신 비례대표 1번을 보장받았던 고인은 2003년 고이즈미 당시 총리가 ‘중의원 비례대표 73세 정년제’를 앞세워 사실상의 퇴진을 요구하자 85세에 결국 중의원 선거 출마를 포기하며 56년간의 의원생활을 접었다.
/전희윤기자 heeyo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