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후보자는 실물경제인 출신이면서 6선의 국회의원이라는 관록을 자랑한다. 정치권에 뛰어든 후 산업부 장관을 지내 현장경제에 대한 남다른 식견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정 후보자를 내각 수장으로 내세운 것은 ‘경제 살리기’에 올인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로 해석돼 기대감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유력후보로 거론됐던 김진표 의원이 노동계·시민단체의 거센 반발로 낙마하면서 대타로 지명됐다는 사실은 뒷맛이 개운치 않다. 새 총리가 이런 외부세력의 압력을 의식해 정책운용 과정에서 운신의 폭이 제한될 수 있다는 걱정에서다. 게다가 얼마 전까지 국회의장을 지내 국가 서열 2위였던 인사가 총리로 옮겨 삼권분립을 흔드는 잘못된 선례를 남겼다는 비판도 있다. 이 정부에 그렇게 인물이 없느냐는 탄식이 절로 나온다.
문재인 정부의 후반기를 이끌어갈 정 후보자 앞에 놓인 과제는 만만치 않다. 정 후보자가 이날 “경제 살리기와 국민 통합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듯이 위기의 민생과 경제를 적극 챙기고 내각을 통솔함으로써 흐트러진 국정의 중심을 잡아나가야 한다. 산업현장에서 잔뼈가 굵은 만큼 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고 규제를 푸는 일도 서둘러야 한다. 아울러 ‘호남 총리’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통합과 화합의 정치를 통해 나라를 하나로 모으는 일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그러자면 특정 세력과 지역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오직 국익만 생각하는 국정의 균형추가 돼야 할 것이다. 국민은 정 후보자가 민심과 동떨어진 청와대를 견제하는 진정한 ‘경제통 총리’로서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