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펜루트의 환매 중단은 라임처럼 부실한 운용 때문이 아니라 유동성 문제에서 비롯됐다. 국내 증권사들은 저금리로 수익구조가 취약해지자 운용사와 고위험 자금 대출인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고 이를 매개로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영업을 통해 이익을 만들었다. TRS로 짭짤한 수익을 올리자 대형 증권사들이 앞다퉈 뛰어들었고 자산운용사도 레버리지를 일으켜 투자 규모를 확대할 통로로 삼았다. 이런 식으로 체결한 TRS 규모만도 2조원에 달했다.
문제는 운용방식에서 발생했다. 유동화가 힘든 자산에 투자하고 수시 환매가 가능하게 설계해 항상 미스매치(만기 불일치) 위험에 노출돼 있었음에도 이를 간과했다. 라임 트라우마에 빠진 증권사들이 TRS 대출을 줄이고 기관투자가들이 환매를 요구하자 펀드런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번 사태는 외견상 불안한 자금 고리가 끊어진 결과인 듯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우리 금융산업의 허약한 체질이 근본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운용 실력이 모자라니 국내에서 손쉽게 수익을 얻으려다 리스크를 키운 것이다. 돈이 된다면 너도나도 뛰어드는 쏠림현상 역시 여지없이 되풀이됐다.
관건은 이번 상황이 시장 전반의 위험 요인이 되지 않게 후폭풍을 차단하는 것이다. 증권사들이 무더기로 TRS 계약 해지에 나설 경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 당국이 금융회사들의 적법한 대출거래라는 이유로 뒷짐만 지다가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아야 할 수 있다. 당국은 사태가 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해당 금융회사들의 자금운용 방식을 재점검하고 투자자의 피해를 최대한 줄일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