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가 조기 종식되더라도 경기 회복세가 생각보다 더딜 수 있다. 한국 경제는 지난해 2.0% 성장에 턱걸이를 할 정도로 기초체력이 약해진 상태다. 중국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중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는 점도 걱정스럽다. 2003년 사스와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감염병이 발발한 분기에 성장률이 떨어졌다가 그다음 반등했던 전례를 들어 반등을 점치는 주장도 있지만 그때는 경기 상승 국면이었다는 점을 간과한 면이 있다. 지금은 경기 하락 국면에 들어선 만큼 쓸 수 있는 카드가 제한적이다.
우리 경제의 코로나 병세가 심각한 만큼 과감한 처방이 요구되는 배경이다. 코로나로 직접적 피해를 입은 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지원이나 생산성 향상시설 투자세액공제율 확대 수준의 대책으로는 경기 하락 국면을 되돌릴 수 없다. 임시투자세액공제를 부활하고 법인세를 인하하는 등 근본적이면서도 좀 더 과감한 처방을 해야 할 시기다.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이 재계 총수들을 만나 “과감한 세금 감면과 규제 특례를 시행하겠다”고 밝힌 것은 다행스러운 언급이 아닐 수 없다. 정부의 조세 정책 기조가 꾸준히 ‘증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조 전환의 여지를 줄 수 있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후속 대책이 없어 희망고문에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 정부 당국은 과감한 처방을 하는 데 주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